최근 "1인 미디어"라는 말이 떠오르고 있다. 일반적인 미디어 컨텐츠라고 한다면 보통 예능프로그램과 같이 최소 2인 이상이 나와서 진행 등을 하는 것. 예를 들자면 무한도전, 1박 2일, 런닝맨 등의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외에도 사실 "미디어"라는 개념은 꽤나 포괄적인데, 1인 미디어라고 한다면 한 명이 해당 컨텐츠를 처음부터 끝까지 이끌어가면서 주도적으로 진행 및 기타 등등의 역할까지 맡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단순히 출연하는 것 만이 아닌, 영상 촬영 및 편집, 후작업까지 모두 그 1인이 맡는 개념이다.
이 1인 미디어는 거의 '= 유튜버' 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그만큼 1인 미디어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는 것이 유튜브. 문제는 유튜브에 올리는 영상을 어떻게 편집을 하느냐이다. 그래서 최근 관심을 많이 받고 있는 것이 "동영상 편집기". (엄밀히 말하면 프로그램이다.)
무슨 IS 급이 아니라면 사용하는 데에 있어 거의 제약이 없는 정도의 채널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의 유튜브. 그게 동영상 편집기 를 활용해 정교하게 제작이 된 영상이건, 그냥 핸드폰으로 찍은 영상이건 업로드는 개인의 자유이다. 기반은 Google. 그래서 구글 계정이 있다면 별도의 가입 필요없이 구글 계정으로 얼마든지 이용할 수 있다. 봤던 영상 기록 등도 확인이 가능하다.
1인 미디어가 "대세"라고 인정받을 수 있을 정도라고 말할 수 있는건, 이를 기반으로 한 예능 프로그램이 제작되었고. 심지어 이 프로그램은 인기도 상당히 많았다. 하지만 마이 리틀 텔레비전(이하 마리텔)은 '1인 미디어'라기 보다는 '인터넷 방송'에 기반을 두었다는 게 더 명확한 설명. 보통 일반인, 혹은 아프리카 등에서 인기가 있었던 BJ들이 이끌었던 '인터넷 방송' 시장을 연예인들이 참여했다고 생각하는 게 편하다. 꼭 연예인이 아니더라도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다수 출연한 프로그램으로, 이 방송을 통해 유명해진 사람으로는 대표적으로 백종원 을 들 수 있다.
1인 미디어, 혹은 유명 유튜버 라고 하면 생각나는 사람 중 1인으로 본명은 나동현. 게임 방송 BJ들이 현재 상당히 많은데, 그 중에서도 거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큰 영향력을 가진 사람 중 한 사람이다. 배우자인 윰댕도 인기 유튜버이다. 채널 이동 루트는 세이클럽-다음TV팟-아프리카TV-유튜브-카카오TV-트위치 이다. 다만 유튜브 이후로는 이동이기 보다는 동시 업뎃이라고 보는게 맞는 듯. 트위치는 현재 진행되고 있지는 않고, 2019년에 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1인 미디어로 시작해 법인까지 설립한 케이스로 "시작은 미미했으나 끝은 창대했다"의 대표적인 인물. 최근에는 tvN의 강연 프로그램인 "어쩌다 어른"에 출연하여 1인 미디어와 컨텐츠 창출에 관해 강연을 한 적이 있다.
대도서관이 운영중인 유튜브 채널인 대도서관TV의 구독자는 1,910,204명으로 곧 200만을 바라보고 있는 수치다. 유행어가 있을 정도로 말을 재미있게 하는 편에, 방송 진행도 깔끔하고 시청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채팅방도 꾸준히 보면서 "소통"을 꾸준히 해서 인기가 있는 편이라고 한다. 게임방송 유튜버라서 그런지는 몰라도 여러 게임회사 등과 콜라보한 경력도 다수 보유.
유튜브의 인기 뷰티 유튜버 중 1명이다. 이사배라는 이름은 처음엔 단순히 유튜버 채널이름이었으나 본격적으로 개명하여 현재 본명 자체가 이사배라고. 과거 MBC 미술센터 메이크업팀, 특수분장팀에서 근무한 경력과 함께 메이크업샵에서 근무한 경력을 토대로 그 자신의 메이크업 실력도 뛰어나고 컨텐츠도 다양하며, 본인도 관련 지식에 대해 꾸준히 공부하는 등 노력하는 모습으로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호감형으로 받아들여지는 유튜버이기도 하다.
사용하는 제품에 대한 설명도 능수능란하며, 컨텐츠의 성격상 채팅방에서 어그로를 찾기가 힘들다. 가끔 연예인 커버 메이크업을 할 때는 어그로가 들어오는 편이라는데, 매니저가 있어 어느정도 관리가 잘되는 편이라고 한다. 타입별로 주로 사용하는 메이크업 제품이 다양하며, 한 브랜드만 쓰기보다는 여러 브랜드를 골고루 이용한다. 사용하는 브랜드의 가격대는 폭이 상당히 넓다.
아무래도 분야가 뷰티이다보니 화장품이나 렌즈 등 뷰티와 관련된 제품과 브랜드와의 콜라보 작업 경력이 많다. 대표적으로는 위 사진에 보이는 키스미 마스카라. 그 외에도 오렌즈 및 뷰티포인트앱과도 콜라보를 할 정도로 뷰티에 관련한 분야로는 영향력이 꽤 높은 편. 경력에 의한 것도 있겠지만 다수의 연예인, 걸그룹과도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튜브 분야라고 하면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빼놓을수 없는 분야 중 하나인 먹방. 먹방 중에서 유명한 BJ라고 하면 밴쯔가 있다. 구독자는 300만을 넘어갈 정도로 많다. 분야의 특성상 주변 자리를 지저분하게 만들거나, 시끄러울 수도 있는데 방송 매너가 깔끔한 것으로 유명하다. 일부러 리액션을 과하게 하거나, 떠들지 않고 일단 방송에서 욕을 하지 않는다고.
먹방BJ 중에서도 먹는 양으로는 손에 꼽을 정도라고 하는데, 그에 반해 몸은 복근이 있는 등 상당히 관리가 잘 되고 있다고 한다. 일단 중학교때까지 했던 유도의 영향도 없지 않겠으며, 평소에 몸관리를 위해 8-10시간 정도를 소비하여 운동을 하는 등 운동량이 엄청나다고 한다.
앞서 소개했던 유튜버들은 본격적인 영상 편집이 되어 거의 방송 수준이었다면, 아주 기본적인 편집 프로그램으로 유튜브를 진행하는 유튜버들도 상당히 많다. 비교적 연령대가 어린 편에 속하는 유튜버들이 그런 편인데, 최근 이슈가 됐었던 유튜버 "띠예"양도 기본적인 동영상 편집기 라고 할 수 있는 키네마스터를 활용한다.
하지만 영상편집기술의 수준이 영상의 질을 결정하는 것도 아니고, 유튜버 본인이 말을 어떻게 하고 진행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영상편집의 레벨이 낮은 편이어도 인기가 많은 경우가 많다. 그래서 최근 초등학생 유튜버도 꽤나 많은 편이다.
사실 키네마스터는 PC를 활용한 프로그램도 아니고, 모바일로 할 수 있는 정말 간단한 편집프로그램이다. 넥스트리밍에서 개발한 편집 어플이며, 이 어플을 활용한 것처럼 보이는 영상도 유튜브에 상당히 많은 편이다. (위 띠예양의 방송 캡쳐화면에서 볼 수 있듯 우측 상단에 보이는 Made with KINEMASTER로 판별이 가능하다.)
키네마스터의 대략적인 인터페이스. 우선은 진입장벽이 낮고 다른 프로그램들에 비해 사용법이 간단하며 가격이 무료라는 장점이 있다. 단점으로는 편집의 수준이 정말 간단한 방식이라 고퀄리티의 영상을 제작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점. 또한 이 어플을 활용해 영상을 만들 경우 우측 상단에 꼭 저 워터마크가 들어가게 되는데, 이 워터마크를 지우기 위해서는 월 7천원을 결제 해야한다고.
PC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동영상 편집기 는 종류도 많고, 개발사도 다양하다. 당장 네이버에 검색만 해도 다양한 사이트링크가 보이고, 네이버 소프트웨어에서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다. 다만 모든 영상편집프로그램이 동일한 수준은 아니고, 높은 퀄리티의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독학이나 학원을 다니는 등 별도의 교육을 받아야 사용이 가능한 프로그램도 있다.
대표적으로는 어도비사에서 개발한 프리미어와 애프터이펙트가 있는데, 왼쪽이 프리미어, 오른쪽이 에펙의 로고이다. 에펙은 CG라기보다는 모션 그래픽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영상 산업에서는 기본툴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에펙과 함께 비슷한 영상편집프로그램인 C4D는 예능프로그램에 자막을 삽입하는 데에 많이 사용되는 프로그램.
왼쪽의 프리미어는 대표적인 영상편집프로그램 중 하나인 베가스와 함께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진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에펙이나 C4D에 비해 좀 더 영상디자인에 가까운 프로그램이다. 풀네임은 '프리미어 프로'라고 하는 것이 맞다.
프리미어의 기본 인터페이스. 아무래도 같은 어도비사의 프로그램이다보니 에펙과의 호환이 뛰어나다. 얼마나 뛰어나냐면 에펙의 파일을 그대로 프리미어의 타임라인에 넣어버릴 수도 있다. 다만 이렇게 하게 되면 프리미어의 램 등이 엄청나게 무거워지기 때문에 보통은 이미지시퀀스를 이용한다. 에펙과 프리미어의 공통점이라고 한다면 인터페이스나 툴 등, 꼭 전문적인 교육이 아니더라도 독학 등의 별도의 공부는 필요하다.
다만 프리미어 프로나 에펙의 경우 사용을 하는 데에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유료 소프트웨어이다. 무료 영상편집프로그램으로 유명한 건 윈도우에서 제공했던 무비메이커. 일단 윈도우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설치가 되는 프로그램이었던데다가 진입장벽이라던가 사용방식도 편리해 사람들이 흔히 사용하는 영상편집프로그램이었다.
MS사에서 윈도우를 깔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프로그램이었지만, 2012년 이후로는 지원을 중단했다. 2012년 이후로 업데이트가 없었고, 2017년 1월 10일 윈도우 필수 패키지 출시와 함께 2012 버전의 지원을 종료되었다고 한다. (아예 다운로드 링크를 없앴다고). 구글링 등을 해보면 이전 버전을 배포하는 블로그 등을 발견할 수도 있지만 악성 프로그램일수도 있으니 무분별한 다운로드는 지양하자.
사실 무료 동영상 편집기 가 무비메이커만 있는 것도 아니고, 무비메이커 정도의 툴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꽤 많은 편이다. 곰플레이어와 같은 개발사인 곰믹스도 있고, 셰어웨어 형태로 제공되는 비교적 높은 수준의 편집프로그램들도 많다. 네이버 포토뷰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도 있고. 꼭 유튜버가 아니더라도 과제 등 사람이 살아가면서 영상 편집 한번쯤은 해봐야 하는 경우가 있으니 찾아보고 자신에게 맞는 것을 이용해보도록 하자.
'도움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F 만들기 :: 야, 너두 할 수 있어. (0) | 2018.12.28 |
---|---|
크롬 쿠키삭제 :: 1분이면 끝남. (0) | 2018.12.27 |
저작권 없는 이미지 :: 유용한 곳만 알려줌. (0) | 2018.12.24 |
구글 설문지 :: 10초면 만들 수 있음. (1) | 2018.12.21 |
안드로이드 버전 확인 :: 초간단 10초면 됨. (0) | 2018.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