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마 컴퓨터나 휴대폰과 같이 어떤 것을 "저장"할 수 있는 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용량부족의 사태를 한 번 쯤은 겪어본 적이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필자의 경우도 지금 사용하는 스마트폰 이전에 쓰던 것을 용량부족 문제는 걱정않고 32GB 버전을 구입했는데, 그 때 항상 용량이 부족하여 사진을 지우고 옮기고 하는 과정이 번거로워 이번에 구입한 것은 64GB. 하지만 지금도 부족하여 128GB 마이크로칩을 구매해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사람들이 선택하는 것은 무료클라우드 와 같은 별도의 저장공간.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한번 쯤 본적이 있을 빨간색 바로 표시되는 부족한 저장공간. 필자의 컴퓨터는 아니지만 특히나 게임 등을 많이 하는 사람들이라면 부족한 저장공간으로 인해 하지 않는 게임을 지우거나, 별도의 드라이브를 구입해서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만약, 어떠한 프로그램이 아닌 영상이나 사진 등. 각종 문서 파일로 인해 저장공간이 부족한 경우, 특히 PC를 이용할 때만 그런 경우에는 무료로 제공되는 웹하드를 이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 PC만 이용하기보다는 PC와 휴대폰을 공유를 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을 위해 나온 시스템이 Cloud 라는 시스템이다.



 


 어려운 곳에서 찾을 필요없이, 가장 대중적인 포털사이트라고 할 수 있는 네이버에서도 30GB정도의 용량의 Cloud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로그인을 한 뒤 상세 창이나 메뉴 등에서 접속을 할 수 있으며, PC에서 저장을 했다고 하더라도 내가 휴대폰을 통해 네이버로 접속을 할 수 있다면 휴대폰에서도 PC에서 저장한 파일을 열거나 저장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인터넷 상의 서버에 정보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고, 데스크톱PCㆍ태블릿PCㆍ랩탑ㆍ넷북ㆍ스마트폰 등 IT 기기에서 저장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Cloud Computing 이라고 한다. 즉, 어떠한 이용자가 어떠한 Cloud 서비스에 자신에게 필요한 어떠한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했다면, 그것에 접속할 수 있는 IT 기기만 있다면 어떠한 IT 기기라도 접속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단순히 개인이 용량이 부족해서 이용하는 시스템이 아닌, PC에서 저장한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 보거나, 스마트폰으로 저장한 데이터를 랩탑에서 보는. 하드를 공유하는 시스템이라고 하면 이해가 편하다. 다만 이러한 Cloud 시스템의 경우 보통은 일정 값의 비용을 지불해야 이용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긴 하다.



 하지만 위 사진을 보면 알 수있듯, 무료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 있긴하다. (제공되는 용량은 괴랄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활용도가 높고 풍부한 용량을 제공하는 곳이 클라우드베리.





 클라우드베리는 본래 T Cloud라고 하는, SKT에서 제공하던 Cloud 서비스가 종료되고 SKT가 새로 개발하여 출시한 Cloud 시스템이다. SKT에서 출시를 하긴 했지만, 타 통신사인 KT와 LG U+도 이용이 가능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용 중인 무료클라우드 중 하나이다.



 PC버전을 다운로드 해놨을 때, PC와의 연동이나 호환도 꽤나 용이한 편이며, 스마트폰에서도 상당히 유용하게 이용이 되기 때문에 스마트폰에서 무료클라우드 를 설치할 경우 클라우드베리를 이용하는 경우가 꽤 많다.



 필자는 원래 SKT 통신사를 이용하긴 하지만 클라우드베리를 이용하는 건 처음이라 처음부터 시작을 해보았다. 일단 클라우드베리(왼쪽 글자를 누르면 링크로 이동.)에 접속한 후 T아이디를 생성하여 로그인을 한다. 처음 가입하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용량은 2GB, 숨김폴더 250MB인데, 여기에서 휴대폰 번호를 인증하면 SKT는 32GB의 무료용량을 제공하며 KT와 LG U+는 16GB의 무료용량을 제공한다.



번호 인증 전, 인증 후. SKT 유저이기 때문에 32GB의 무료 용량이 제공되었다. 위에서 봤다면 알겠지만 네이버 Cloud가 꽉 차서 그냥 외장하드를 이용하고 있었는데 외장하드도 용량이 부족해 하나를 더 사야 할 지경이라.. 당분간은 클라우드베리를 이용할 듯 하다. 무료클라우드, 어떤 걸 이용해야될지 고민이 된다면 클라우드베리를 알아보도록 하자.



반응형

+ Recent posts